음향관련

  • 홈 >
  • 아카데미 자료 >
  • 음향관련
음향관련
마이킹의 실제2 운영자 2016-12-14
  • 추천 0
  • 댓글 0
  • 조회 395

http://edumedia.onmam.com/bbs/bbsView/14/5207183

마이킹의 실제 알아보기



어쿠스틱 기타

어쿠스틱 기타는 소리의 80% 이상이 몸통에서​ 나오기 때문에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마이킹을 하는 것이 팁이에요.

두 개의 마이크를 사용할 경우에는 X-Y, M-S 방법으로 사용하시면 되구요.

 

이상의 설명은 녹음시에 유용하구요.

 

실제로 교회에서는 픽업이 장착된 기타를 사용하여 다이렉트 박스를 거쳐

콘솔로 바로 입력해서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노이즈나 하울링이 없어 편리하게 쓸 수 있어 좋은 점도 있지만, 통기타 본래의

 

울림이나 왼손 핑거링과 같은 소리 흡수는 어렵기 때문에 음질은 떨어질 수 밖에 없죠.

 


일렉 기타 & 베이스 기타

 

일렉앰프를 사용하여 마이킹 할 때에는 살짝 옆에서 중심쪽을 향하게 해요

 

이유는 고출력에 의한 불필요한 소리를 배제하기 위해서지요.

특히, 일렉 기타는 기타 자체의 픽업 노이즈나 이펙터 노이즈 그리고 앰프 노이즈가 자

체적으로 발생하는 악기라서 가능한 고성능 저잡음의 앰프와 험버킹 픽업, 그리고 이펙

트 노이즈를 줄여 줄 게이트의 사용은 필수적이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다이렉트 박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베이스의 경우 다이렉트 박스를 통해 콘솔로 바로 입력하거나, 앰프의 프리부분만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어요.(이 경우 고성능의 프리앰프를 사용해야 함)

 



드럼

드럼 세트는 최소 3개부터 8개로 마이킹이 이루어져요.


킥드럼: 일명 베이스 드럼이라고 하는데, 페달을 밟아 내는 소리의 음압이 크기 때문에

 

다이나믹 레인지가 큰 다이나믹 마이크나 고성능의 콘덴서 마이크를 단일지향성으로

하여 컷팅홀 안쪽으로 비터와 부딪치는 부분으로 향하게 설치해요.

마이크가 킥 드럼 안쪽으로 가까이 갈수록 고음 대역이 더 많이 흡수되며 바깥쪽으로

갈수록 저음 대역이 더 많이 흡수되요.



스네어: 킥 드럼과 함께 리듬의 기본이 되는 드럼으로, 하단부에 샤워링이라는 철망이

 

장착되어 있죠. 마이킹은 단일지향성 다이나믹 마이크를 사용하여 드럼 헤드로부터 약

2~4cm정도 위, 드럼 안쪽에 설치해요. 보다 풍부한 소리의 흡수를 위해 스네어 아래에

 

마이크를 하나 더 설치하기도 해요.



하이햇: 킥, 스네어와 기본응 이루는 심벌로 두 장으로 구성되구요. 두 장 중에서 무거

운 심벌이 아래쪽 심벌이에요. 마이킹은 심벌 끝에서 바로 위에 약10c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단일지향성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하면 되요. 하이햇은 바로 옆에 스네어가 놓이기

때문에 가능한 스네어와의 거리를 두는 마이킹을 하는 것이 좋아요.



탐탐: 일정한 음계를 가지는 드럼이기 때문에 연주전에 조율을 확인해야 해요. 헤드 안

쪽으로 마이킹을 하고 다이나믹 마이크를 사용해요. 주의해야 할 점은 탐탐 마이크에

탐탐 소리가 제일 크게 흡음되어야 한다는 거죠. 바로 위에 있는 심벌의 큰 음압이 가능

한 탐탐의 마이크에 적게 들어갈 수 있는 지향성의 각에 둘 수 있게 마이크의 방향을 잡

아야 해요.



심벌즈: 크래쉬, 라이드 심벌이 대표적인데, X-Y스테레오 마이킹을 사용해요. 오버헤

드 라고 부르는데, 이들 심벌들은 그 소리가 고음이면서 음량이 크기 때문에 심벌로부

터 약 50cm 정도 떨어진 위에서 단일지향성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해요. 심벌외에 다른

소리가 가능한 적게 흡음되게 마이크 방향이 심벌의 전면 끝을 향하도록 해야해요.

 



보컬

가장 많은 마이킹이 이 보컬(노래, 연설, 대사, 코러스 등등)의 마이킹일 거에요.

 

마이크를 입에 가까이 둘수록 마이크의 저음 레벨이 커져요. 피드백을 줄이기 위해 중

마이크를 거의 입에 대고 사요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경우 그접효과를 고려해야 같

은 마이크의 다른 입력 레벨과 음색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요.

근접효과가 나타날 때에 대략 100Hz 이하 대역을 줄이면 보통 때와 같은 음색을 얻을

수 있어요.

 

 

발음 중에 ㅂ, ㅍ, ㅌ 같은 소리는 다른 발음들보다 나오는 음압이 세요. 이것을 팝핑

 

라고 하는데, 이 팝핑을 줄이기 위해서는 윈드 스크린을 쓰거나, 내부에 필터가 들어 있

는 마이크를 사용하면 되요.

팝핑과는 다르게 ㅅ, ㅆ 소리는 5kHz에서 10kHz 대역에 강한 소리로 발음되어 시발란

라고 불러요. 이것에 대한 처리는 이퀄라이저에서 해당 주파수를 줄여야 해요.

코러스의 경우에는 그 규모에 따라 개인별, 파트별로 마이킹 하면 되요^^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아웃보드 이펙터1 운영자 2016.12.14 0 294
다음글 마이킹의 실제1 운영자 2016.12.14 0 371